-
체크체크취업준비/정보처리기사 2021. 10. 3. 20:36
드래그를 통해 답을 확인하세요.
1. 게이트웨이
=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서로 다른 통신망,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간에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 장비
2. LAN (Local Area Network)
=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소수의 장치들을 서로 연결한 네트워크로 일반적으로 하나의 사무실, 하나 또는 몇 개의 인접한 건물을 연결한 네트워크.
3. 머신러닝
= AI 분야 중 하나로, 인간의 학습 능력과 같은 기능을 컴퓨터에서 실현하고자 하는 기술로,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기반한 경험적인 데이터로부터 스스로 성능을 향상시키는 시스템을 연구하는 학문
4. NFV (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)
= 범용 하드웨어(서버/스토리지/스위치)에 가상화 기술을 적용하여 네트워크 기능을 가상 기능(function)으로 모듈화하여 필요한 곳에 제공(스위치, 라우터 등)하는 기술
5. 다크 데이터
= 정보를 수집한 후, 저장만하고 분석에 활용하고 있지 않은 다량의 데이터로, 처리되지 않은 채 미래에 사용할 가능성이 있다는 이유로 삭제되지 않고 방치되어 있어 저장 공간만 차지하고 보안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데이터
6. DLP (Data Loss Prevention)
= 조직 내부의 중요 자료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탐지하고 차단하는 기술로, 정보 유출 방지를 위해 정보 흐름에 대한 모니터링과 실시간 차단 기능을 제공하는 기술
7. 디피-헬만
= 암호 키를 교환하는 방법으로써 두 사람이 암호화되지 않은 통신망을 통해 공통의 비밀 키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
8. 람다 아키텍처
= 배치 레이어, 스피드 레이어, 서빙 레이어로 구성되어 데이터 분석 요청 시 모든 데이터를 대상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빅데이터 프로세싱 아키텍처
9.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
= 하나의 큰 시스템을 여러 개의 작은 서비스로 나누어 변경과 조합이 가능하도록 만든 아키텍처
10. 마이 데이터
= 정보주체가 기관으로부터 자기 정보를 직접 내려 받아 이용하거나 제3자 제공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정보주체 중심의 데이터 활용체계
11. 맵 리듀스
= 구글에서 대용량 데이터 처리를 분산 병렬 컴퓨팅에서 처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하여 2004년 발표한 소프트웨어로 현재 Java, C++, 그리고 기타 언어에서 적용이 가능하도록 작성되었으며 아파치 하둡(Hadoop)으로 대표되는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
12. 메시 네트워크
= 기존 무선 랜의 한계 극복을 위해 등장하였으며, 대규모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생성에 최적화되어 차세대 이동통신, 홈 네트워킹, 공공 안전 등의 특수 목적을 위한 새로운 방식의 네트워크 기술
13. 무선 침입 방지 시스템 (WIPS; Wireless Intrusion Prevention System)
= 인가되지 않은 무선 단말기의 저속을 자동으로 탐지 및 차단하고 보안에 취약한 무선 공유기를 탐지하는 시스템
14. 브로드캐스트
= 하나의 송신자가 같은 서브네트워크 상의 모든 수신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 기술을 뜻하는 용어
15. 분산 원장 기술 (DLT)
= 중앙서버나 중앙관리자의 제어 없이 분산화된 네트워크의 각 노드(참여자) 들이 모든 거래 목록을 지속적으로 갱신하고, 데이터베이스를 공유하는 기술
16.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(SDN)
= 개방형 API(오픈플로우) 기반으로 네트워크 장비의 트래픽 경로를 지정하는 컨트롤 플레인과 트래픽 전송을 수행하는 데이터 플레인을 분리하여 네트워크 트래픽을 중앙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기술
17. 스니퍼(Sniffer)
= 네트워크 트래픽을 감시하고 분석하는 프로그램으로 또는 패킷에 잠입하여 정보를 가로채는 대표적인 크래킹 기술
18. TFN (Tribe Flood Network)
= 분산 도구로 많은 소스에서 하나 혹은 여러 개의 목표 시스템에 대해 서비스 거부 공격을 수행할 수 있는 도구
19. 페어와이즈 테스트
= 테스트 데이터 값들 간에 최소한 한 번씩을 조합하는 방식이며, 이는 커버해야 할 기능적 범위를 모든 조합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테스트 세트를 구성하기 위한 테스트 기법이다.
20. RAID
=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로 디스크 배열을 구성하여 파일을 구성하고 있는 데이터 블록들을 서로 다른 디스크들에 분산 저장하는 기술
21. 합성 중심
= 소프트웨어 재사용 방법 유형으로, 전자 칩과 같은 소프트웨어 부품, 즉 블록(모듈)을 만들어서 끼워 맞추어 소프트웨어를 완성시키는 방법
22. 생성 중심
= 소프트웨어 재사용 방법 유형으로, 추상화 형태로 쓰인 명세를 구체화하여 프로그램을 만드는 방법으로, 패턴 구성 방법